오우정할아버지/오우선생실기

次五友亭韻- 璞齋 金紐

eungi5 2011. 11. 8. 16:43

次五友亭韻

                                               竝序 洗馬1 金紐2 號璞齋                                                                                                          紐끈뉴,

       차 오우정 운                         병서 세마 김뉴 호 박재

密陽前敎導3閔公九齡 乃我再從兄也 及事我佔畢齋 有學行 居兩親喪 哀禮俱盡                                                  俱함께구

밀양의 전 교도 민공 구령은 나의 재종형이다.                                                                                                             

우리 점필재에게서 배우고 배운 것을 실천하였는데, 양친상을 당해서 애통함과 예절이 아울러 극진하였다.

 

又與弟九韶九淵九疇九叙 友愛天至  

合力構亭三郞江上 春秋吉日 各携諸子若孫幾三十餘人

逍遙彌日4 和樂且湛                                                                                    韶풍류이름소,疇밭두둑주,逍거닐소,遙멀요.彌두루미,널리.

또 아우 구소, 구연, 구주, 구서와 더블어 우애가 지극하였다.

힘을 합쳐 삼랑강 가에 정자를 짓고, 봄, 가을에 날씨가 좋으면 아들과 손자들 거의 30여명을 데리고 거닐며, 여러 날 즐거워하였다.

 

姜肱5之共被 唐帝之同帳6 亦不能過也  人或擬之於高陽7之德星8焉 非溢美也

任相國虎臣 嘗按節玆道 過而見之 問之其由 極加敬歎                                                             肱팔뚝굉,擬헤아릴의,비교하다. 

비록 강굉 형제가 이불을 함께 덥고, 당제가 침장을 함께 쓰던 일도 이보다 더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람들이 혹 고양의 덕성에다 비기기도 했는데 지나친 칭찬이 아니었다.

상국 임호신이 일찍이 道의 감사로 이 고을을 지나다 그 연유를 들어서 알고 매우 감탄하였다.

 

乃聞于朝 仍 製亭贊及四韻 又扁亭額曰友于 遂名動一國   

搢紳士大夫9之來嶺南者 咸賡韻以美之珠聯玉疊 照耀楣間 眞末世之盛事也

未幾 公與三弟 相繼而逝 獨九叙公存焉             額이마액,편액,현판,搢꽂을진,紳큰띠신,賡이을갱,계승하다.갚다.疊겹쳐질첩,耀빛날요,楣문미미,처마

그리하여 조정에다 보고한 다음 정자를 찬미하는 글 및 사운시를 짓고 또 정자에다 友于라는 현판을 걸어서 드디어 소문이 온 나라에 퍼졌다.

진신사대부로서 영남에 오는 자는 다 그 운을 이어 찬미하여 주옥같은 문장이 처마에 빛나니, 참으로 말세의 훌륭한 일이었다.

그 후 얼마 못되어 공과 세분 아우가 잇달아 별세하고 구서공 만이 홀로 생존하였다.

 

公之諸子侄輩 乃追先志 立廟于亭之左 每春秋遊賞10之日 必先祀之 以羹墻之思11肯堂12之美意也  余嘗再遊亭上 目覩盛事 素所欽仰                                                                                           賞상줄상,기리다.찬양하다.覩(볼 도),欽공경할흠,

공의 여러 자질이 선인의 뜻을 따라서 정자 왼쪽에 사당을 짓고 봄, 가을 놀이하는 날마다 반드시 먼저 제사해서 갱장을 대해 사모하던 뜻을 부치니 또한 긍당하는 아름다운 뜻이었다.

내 일찍 두 번이나 이 정자에 와서 훌륭한 일을 직접 보았고, 평소부터 흠앙하던 바였다.

 

適廟成之秋 自江城墅來龜巖故業 訪九叙公于三梅堂 公出視諸公題詠之什 仍命次之

悲感之餘 不敢固辭 謹步原韻                                                            墅(농막 서), 龜(나라이름 구, 거북 구), 詠(읊을 영), 什열사람십,詩歌.

마침 사당을 낙성하던 날 강성별서에서 귀암 고장에 왔다가 삼매당 구서공을 방문하니, 공이 여러분이 제영한 글을 내어 보이고 이어서 화답하기를 명하였다.

나는 비감한 나머지 감히 굳이 사양하지 못하고 삼가 원운을 화답한다.

 

憶昔叨淸賞 頻參五友筵                                                                                       憶(생각할억),昔옛석,叨(탐낼도),筵(대자리연,깔개연)

醉憑危檻月 吟掉暮江煙                                                                                                憑(기댈빙),檻(우리함),吟(읊을음),掉(흔들도)

自是修天爵13 元非學地仙14                                                                                                                           爵(벼슬작)

祗今人事15改 徙倚一潛然,                                                                                                           祗(공경할지,조사,마침,是),徙(옮길사),潛(잠길잠)

옛적에 외람되게 칭찬을 받고

오우정 잔치에 자주 참여하였다.

취해서 흔들리는 달빛에 기대고

강 연기는 읊조림에 흔들렸었지

이것은 천작을 닦음이었고

원래부터 지선을 아니 배웠다.

지금에는 인사가 변해졌구나

옮겨 기대어 눈물 지운다.

 

  1. 세마: 이조 世子 翊衛司의 정구품 벼슬 [본문으로]
  2. 김뉴: 점필재의 손자 [본문으로]
  3. 교도: 이조 전의감, 간상감, 사역원, 또는 오백호 이산 큰 고을에 두던 종구품 벼슬 [본문으로]
  4. 미일: 온 종일 [본문으로]
  5. 강굉, 후한 때 사람. 자는 백회, 두 아우 주해, 계강과 더불어 효행이 지극하고 우애가 돈독하여 항상 침식을 함께 하였다. 나라에서 태수로 삼아 불렀으나 숨어서 나가지 않고 집에서 생을 마쳤다.(후한서 강굉전) [본문으로]
  6. 당제지동장: 당나라의 양황제가 광천후에 융경구저를 홍경궁으로 만들고 궁 서쪽과 남쪽에다 다락집을 지어 서쪽은 화악상위지류, 남쪽은 근정무분지루라 했다. 가끔 여러 왕을 불러 풍악을 벌리며 반드시 루에 오르게 하여 한 자리에 앉았다.(당서 양황제전) [본문으로]
  7. 고양: 후한의 순숙이 아들 여덟을 두었는데 모두 명망이 있었고, 그가 살던 마을을 고양리라 했다. [본문으로]
  8. 덕성: 상스러운 조짐으로 나타나는 별, 후한 진식이 자질과 함께 순숙의 집에 갔는데 태사가 덕성이 모인 천상이 있다고 아뢰었다 한다. [본문으로]
  9. 진신; 벼슬한 사람의 총칭 [본문으로]
  10. 유상: 유람하며 감상하다. 명소·고적 등을 다니며 감상하다. [본문으로]
  11. 갱장: 죽은 사람을 우러러 사모하는 것, 옛날 요 임금이 죽은 후에 순임금이 3년 동안 사모하여 담벼락에 요의 얼굴이 보이는 듯하고 국을 대하면 국에 요의 얼굴이 보이는 듯 했다는 데서 나온 말(후한서 반고전) [본문으로]
  12. 긍당: 부조의 사업을 자손이 잇달아 성취함을 일컫는 말(서경) [본문으로]
  13. 천작. 훌륭한 덕을 닦아서 저절로 남에게 높음을 받는 일.(孟子告子上篇) [본문으로]
  14. 지선. 지상에 있는 신선, 즉 편안하게 날을 보내는 사람. [본문으로]
  15. 인사. 인간 사회의 사정(사정진시황전) [본문으로]

'오우정할아버지 > 오우선생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輓 三梅堂  (0) 2011.11.10
次三梅堂韻  (0) 2011.11.08
次 遯齋河冲韻 -三梅堂  (0) 2011.11.08
五友先生實記序-宗人 致久  (0) 2011.11.07
五友先生의 生涯와 思想-十四代孫 丙蘇  (0) 2011.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