輓1 三梅堂 輓끌만
삼매당을 만장(輓章)함
驪江浩浩天潢2接 公是平章3幾葉孫 驪(가라말 여), 潢(웅덩이 황)
孝友傳家光史簡4 詩書發冢照乾坤鶺鴒5歌裏唐虞6月 棠棣7吟邊太古樽 鶺(할미새 척), 鴒(할미새 령),虞헤아릴우,棠팥배나무당.棣산앵두나무체,樽(술잔 준)
堪恨德星無復覩 兩男猶幸典型8存 堪견딜감,型거푸집형여강물 넓고 넓어 은하에 닿고,
공은 평장의 몇 대손인가
家風인 孝友는 사간에 빛나고,
무덤을 나온 詩書 온누리 비치네
척령가 노래하니 달빛에 빛나고,
당체를 읊조리니 태고적 항아리
덕성을 다시 못 봄이 한스러우나,
두 아들에게 다행히 전형이 남아있다.
幽懷抱玉未能伸 高臥湖山物外春
五友亭前靑雀9舫 三梅堂上白綸巾10 舫(배방,뗏목),綸(낚싯줄륜)
荊花漠漠悲無跡 江海冥冥想有神 漠(사막막),荊(모형나무형)
萬古千秋應不死 美名曾得入楓宸11 曾(일찍증),楓(단풍나무풍),宸(집신)
아름다운 가슴 속 포부 펴지 못하고속세 밖 호산에 편케 누웠네.
오우정 앞에서 청작배 타고
삼매당 위에서 백륜건 썼다.
형화의 자취 없음이 못내 슬프고,
아득한 강해에 신이 있는가.
미명은 영원토록 이어지리라.
일찍이 풍신에도 들어 갔으니.
江湖遊遍復尋山 牛嶺春深紫翠班 遍(두루편),尋(찾을심),嶺(재령),翠(물총새취)
屐齒印苔淸世界 杖頭縈霧別人間 屐(나막신극),苔(이끼태),縈(얽힐영)
吟邊更覺乾坤濶 醉裏偏知日月閒 濶근고할활,어그러지다.闊의俗子,偏치우칠편,閒틈한,사이各恨光陰如過客 此生無復拜公顔
牛嶺山名公置草堂于此
강호를 유람타가 다시 산을 찾으니,
우령에 봄이 깊어 붉고 푸르네.
나막신은 이끼위에 자국 남기고,
지팡이에 안개 휘감기는 별천지로다.
읊조리면 건곤 넓음 다시 깨닫고
취중에는 세월의 한가함 새삼 알았다.
길손같은 광음이 너무 한스러
이승에서 공의 안면 뵈올길 없네
우령은 산이름, 공이 여기에다 초당을 지었다.
桑梓12歸來事事新 喜公依舊笑談眞 梓가래나무재
白頭話昔無今日 靑眼13論懷有幾人
再會未成愁上額 盖棺胡遽淚霑巾 霑젖을점,遽갑자기거,額이마액,현판,분량
九原若遇先君面 爲報孤兒苦憶親 憶생각할 억
상재에 돌아오니 일마다 새롭고,공과의 담소가 참으로 기뻤었다.
흰머리 옛날 얘기 오늘엔 없고
청안으로 나눈 정담 몇몇이던가.
다시 모임 못하여 시름겹더니
관을 덮자 갑자기 눈물 적신다.
황천에서 그 분을 뵈오시며는
외로운 아들의 어버이 생각 일러 주시오.
- 만장: 죽은 이를 슬퍼하여 지은 글. 또는 그 글을 비단이나 종이에 적어 기(旗)처럼 만든 것. 주검을 산소로 옮길 때에 상여 뒤에 들고 따라간다. [본문으로]
- 천황: 은하수 [본문으로]
- 평장: 평장사의 준말, 고려 중서문하성의 종이품 [본문으로]
- 사간: 역사를 기록한 책 [본문으로]
- 척령: 할미새 [본문으로]
- 당우: 교대 중국 성왕, 요의 나라 당과 순의 나라 우를 일컬음 [본문으로]
- 당체: 아가위나무의 딴 이름. 형제간을 일컫는 말 [본문으로]
- 전형: 같은 부류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형. [본문으로]
- 청작: 익새의 이름, 나무로 만들어서 뱃 머리에 걸기도 하고 그림으로 그리고 하는데 이것이 바꿔져서 배를 일컫는 말로도 된다. [본문으로]
- 백륜건: 한가하게 풍류하는 사람이 쓰던 건, 흰천에 푸른 실로 끈을 달아서 썼음. [본문으로]
- 풍신: 임금이 있는 곳. [본문으로]
- 상재: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고향이나 고향의 집을 이르는 말. 《시경》에 있는 말로, 뽕나무와 가래나무를 심어 자손들에게 양잠과 기구 만들기에 힘쓰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본문으로]
- 청안= 반가운 사람을 맞이하는 눈빛 [본문으로]
'오우정할아버지 > 오우선생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次 五友亭板上韻 1. (0) | 2011.12.05 |
---|---|
次狎鷗亭韻 (0) | 2011.11.14 |
次三梅堂韻 (0) | 2011.11.08 |
次五友亭韻- 璞齋 金紐 (0) | 2011.11.08 |
次 遯齋河冲韻 -三梅堂 (0) | 201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