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한학관련

대학 속의 중요 문장 발췌

eungi5 2013. 9. 20. 21:41

대학 속의 중요문장

 

大學經 1. 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대학의 도는 명덕을 밝히는 데 있고, 백성을 새롭게 하는 데 있고, 지선에 머무르는 데 있다.

             四端之說- 惻隱之心 仁之端也 羞惡之心 義之端也    羞바칠수,부끄러워함.

                           辭讓之心 禮之端也 是非之心 智之端也

                   측은한 마음을 가지는 것이 어진 행동의 근본이고,

                   악한 것을 싫어하는 마음이 의로운 행동의 근본이며,

                   좋은 것을 사양하는 마음이 예의의 근본이며,

                   모든 일의 시비를 가리는 것이 지혜로움의 근본이다.

2. 知止而后有, 而后能, 而后能, 而后能, 而后能.

   止者, 所當止之地, 卽至善之所在也. 知之, 則志有定向.

                 머무름을 알고 난 다음 정함을 알고, 

                 정함을 알고 난 이루 능히 고요함을 얻을 수 있고,

                 고요함을 알고 난 다음 능히 편안함을 알고,

                 편안함을 알고 난 다음 능히 바르게 생각함을 알고,

                 바르게 사고함을 한 이후 능히 얻을 수 있다.

                 머무름이라는 것은 당연히 정지하는 곳이다.

                 즉, 최고 선이 머무르는 곳이다.

                 즉, 정향의 뜻이 있음을 말한다.

                

                靜, 謂心不妄動. 정은 함부로 망녕되이 움직이지 않는 마음을 이른다.

                安, 謂所處而安. 안은 편안히 거하는 곳을 이른다.

                慮, 謂處事精詳. 려는 일을 정밀하고 상세하게 처리함을 이른다.

                得, 謂得其所止. 득이란 그 머무르는 자리를 얻음을 이른다.

 

5. 物格而后知至,

    知至而后意誠,

    意誠而后心正,

    心正而后身脩,

    身脩而后家齊,

    家齊而后國治,

    國治而后天下平.

 

 

 

大學傳

 

제2장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진실로 날마다 새로워지기를 원하면

                                          날마다 새로워져야 하고

                                          또 날마다 새로워져야 한다.

 

제3장

1.  爲人君, 止於仁;  사람의 임금이 되려는 자는 어진 마음과 행동을 해야 하고,

    爲人臣, 止於敬;   올바른 신하가 되려하면 공경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爲人子, 止於孝;   부모을 모시는 사람은 효도하는 마음을 실천하여야 하고,

    爲人父, 止於慈;   올바른 부모가 되려면 자애로운 마음을 가져야 한다.

    與國人交, 止於信. 그리고 사람을 사귀는 데는 믿음이 제일이다.

 

2. 有斐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자르고, 깍고, 쪼고, 갈고)

    有斐君子, 終不可諠

          훌륭한 군자는 자르는 듯, 깍는 듯, 쪼는 듯, 가는 듯 끊임없이 성실하게 학문에 임해야 한다.

          훌륭한 군자는 영원히 잊히지 않는다.

 

3. 君子賢其賢 而親其親,

    小人樂其樂 而利其利, 此以沒世不忘也.

              군자는 그 부모가 현명했던 것처럼 현명하고, 친했던 것처럼 친하다.

             그러나 소인은 그 부모가 즐겼던 것처럼 방탕하게 즐기고, 이로움을 추구했던 것처럼 추구한다.

             이것은 세상이 망해도 잊어서는 안된다.

 

제6장

 

1. 所謂誠其意者: 毋自欺也, 

                소위 뜻에 성실한 자는 스스로를 기만하지 않는다.

   如惡惡臭, 如好好色, 此之謂自謙

                나쁜 냄새를 싫어하는 것처럼, 아름다운 색을 좋아하는 것처럼 하니 이를 자겸-겸손이라 한다.

   故君子必愼其獨也!    고로 군자는 반드시 스스로 행동을 신중하게 한다.

 

3. 曾子曰: 十目所視, 十手所指, 其嚴乎!

                열명의 사람이 보고 있고, 열명의 사람이 손가락 질 하고 있으니 이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4. 富潤屋, 德潤身, 心廣體胖 胖편안할반.

                     부유함은 집을 아름답게 하나, 덕스러움은 몸을 윤택하게 한다.

              이로써 마음이 넓어지고 몸이 편안해 진다.

 

제7장

所謂脩身在正其心者, 身有所忿懥, 則不得其正;

                                    有所恐懼, 則不得其正;

                                    有所好樂, 則不得其正;

                                    有所憂患, 則不得其正

                소위 마음을 닦기에 힘쓰는 자는 마음에 노여워하는 기색이 있으면 곧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곧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즐기는 것을 좋아하는 바가 있으면 곧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우환속에  있으면 곧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마음에 없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고, 먹어도 그 맛을 모르게 된다.

                      

제8장

 

1. 所謂齊其家在脩其身者: 人之其所親愛而辟焉,

                                           之其所賤惡而辟焉,

                                           之其所畏敬而辟焉,

                                           之其所哀矜而辟焉,

                                           之其所敖惰而辟焉.

                소위 그 집을 바로잡는 것이 수신하는 데 있다 함은, 사람이 그 친애하는 데서 편벽되며,

                                                                                                 그 賤惡하는 데서 便辟되며,

                                                                                                 그 畏敬하는 데서 편벽되며,

                                                                                                 그 哀矜하는 데서 편벽되며,

                                                                                                 그 敖惰하는 데서 편벽된다는 것이다.

      故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者, 天下鮮矣!

             그러므로 좋아하면서도 그 나쁜 점을 알아보고, 미워하면서도 그 좋은 점을 알아보는 사람이란

             세상에 드물다.

2. 故諺有之曰:「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諺상말언,속담,碩클석

             그러므로 속담에 이르기를 ‘사람은 그 자식의 악한 것을 아는 자 없고,

                                                    그 곡식의 싹이 자라는 것을 아는 자 없다’고 한 것이다.

      溺愛者不明, 貪得者無厭, 是則偏之爲害, 而家之所以不齊也.

             사랑에 빠진 자는 앞의 분간을 못하고, 탐욕스러운 자는 지루한 줄 모른다.

             이는 치우치면 해롭고, 가정이 바로 잡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제9장

 

1. 者, 所以事君也;

    者, 所以事長也;

    者, 所以使衆也

            孝는 임금을 섬기는 길이고, 弟는 웃사람을 받드는 길이고, 慈는 백성을 부리는 길이다.

 

2. 康誥曰 「如保赤子」 ,

    心誠求之, 雖不中不遠矣. 未有學養子而后嫁者也

             강고에 말하기를 ‘갓난아이를 돌보듯 하라’고 하였으니,

           마음으로 성실히 추구하면 가운데를 적중하지 못한다 해도 멀지는 않다.

           아이 기르는 법을 배우고 나서 시집갔다는 사람은 아직껏 없었다.

3. 一家仁, 一國興仁;

    一家讓, 一國興讓;

    一人貪戾, 一國作亂;

    其機如此. 此謂 一言僨事, 一人定國.

          한 집안이 어질면 한 나라의 어짐이 흥기하고,

          한 집안이 겸양하면 한 나라가 그 겸양함에 흥기하고,

          한 사람이 탐욕하고 사람의 눈물을 흘리게 하면 한 나라에 난이 일어난다.

          그 동기가 이와 같으니, 이것을 가리켜 한마디 말이 일을 그러치고,

                                                                 한 사람이 나라를 안정시킨다고 한다.

5. 詩云: 「宜兄宜弟. 」 宜兄宜弟, 而后可以敎國人

          시경에 이르기를 ‘형과 화목하게 하고, 아우와 화목하게 하는구나.’라고 했으니,

          형제가 화목한 이후 가히 나라 사람들을 교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나의 이야기 > 한학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입력작업 완료  (0) 2014.12.22
소학에서 한마디(강절 소선생의 자손 교육).  (0) 2013.12.14
대학 수정 보완  (0) 2013.07.09
夜雪 臨淵堂 李亮淵  (0) 2013.02.19
盡日尋春  (0) 2012.06.28